국립중앙도서관 - National Library of Korea

국립중앙도서관   - National Library of Korea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a national library with a vast collection of resources. It is a total report of Korean literature information that is collectively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preserving national intellectual cultural heritage and carrying out its responsibilities as a cultural communicator to pass it on to future generations.
On May 28, 1988, the current National Library building, which was moved from Namsan to Banpo-dong, Seocho-gu, consists of the main building and annex buildings (annex). Surrounded by the Seocho Park, the library building is beautiful and has a quiet atmosphere, providing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pace for the library users. The National Library hopes that the library will become an open cultural space that enhances the information literacy of visitors. From July 1, 2000, it runs a field trip program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libraries.

The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a complex system that combines the practicality of existing analog libraries with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digital. The digital library achieves the online service through the 'dibrary portal' and uses the 'Information Commons', the physical user service space, to create a model of the first digital library where online and offline coexist organically It is meaningful to show.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corner of Korea, Korea Tourism Organization)


국립중앙도서관은 방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국가 대표 도서관으로서 국가의 지적 문화유산을 총체적, 체계적으로 수집·보존하여 이를 후세에 전승시키는 문화 전달자로의 책무를 수행하고 있는 우리나라 문헌정보의 총보고이다.
1988년 5월 28일 남산에서 서초구 반포동으로 신축 이전한 현재의 국립중앙도서관 건물은 본관과 부속건물(별관)로 이루어져 있다. 서초공원으로 둘러싸인 도서관건물은 주위의 경관이 아름답고 분위기가 조용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편안하고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도서관이 이용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 열린 문화공간으로 자리하기를 바라는 국립중앙도서관은 2000년 7월 1일부터 도서관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이기 위한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은 기존 아날로그 도서관의 실용성에 디지털의 신속함과 편리함을 더한 복합 시스템으로 디지로그, 즉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만남이 현실화된 공간이다. 디지털도서관은 온라인 서비스를 ‘디브러리 포털(dibrary Portal)’을 통해 달성하고 물리적인 이용자 서비스 공간인 ‘정보광장(Information Commons)’ 을 이용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공존하는 최초의 디지털도서관의 모형을 선보이는데 의의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문화비축기지_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문화시설.

문화비축기지_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문화시설.



6호선 월드컵 경기장역 바로 옆에 위치해있으며, 난지도 하늘공원등과 매우 인접해 있어 가기도 편하다.

내부에 카페, 화장실 등 편의 시설이 잘 유지되어 있어 편하게 구경할수 있다.

홍보가 부족한 탓인가, 사람이 매우 적기에 한적하게 즐길수 있는곳.

커플들이 가기에도 좋다. 추천.

이곳을 들른뒤 하늘공원, 평화의 공원, 그리고 마포 망원동의 망리단길 투어를 추천한다.  입구에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자전거 서비스, 따릉이가 있어서 뚜벅이 커플도 편하게 이용할수 있다.

에스키모 실종사건 - [꿀잼영화관]

에스키모 실종사건 - [꿀잼영화관]






[꿀잼영화관] 에스키모 실종사건 세계 제 5대 미스테리! 이 세상에는 신비한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그것.... 과연... 진실은 어디에.

서울 고궁 투어 - 창덕궁 Seoul Old Palace Tour - Changdeok Palace

서울 고궁 투어 - 창덕궁 Seoul Old Palace Tour - Changdeok Palace


구글광고





서울 고궁 투어 - 창덕궁
Seoul Old Palace Tour - Changdeok Palace

# 영상을 제공해준 그녀에게..~ 사랑합니다 ^^.
# Pretty girl gave me this video .. ~ I love her. So thank you. ^^.




창덕궁은 1405년 경복궁의 이궁으로 지은 궁궐이다.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다 하여 이웃한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이라 불렀다. 임진왜란으로 모든 궁궐이 불에 타자 광해군 때에 다시 짓고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하기까지 정궁 역할을 하였다. 조선의 궁궐 중 가장 오랫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이다.

경복궁의 주요 건물이 좌우대칭의 일직선상에 놓여 있다면 창덕궁은 산자락을 따라 건물들을 골짜기에 안기도록 배치하여 한국 궁궐 건축의 비정형적 조형미를 대표하고 있다. 또한, 비원으로 잘 알려진 창덕궁 후원은 다양한 정자, 연못, 수목, 괴석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곳이다. 현재 남아있는 조선의 궁궐 중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창덕궁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배치가 탁월한 점에서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서울역 광장] 서울스퀘어. 초대형 건물스크린~

[서울역 광장]  서울스퀘어.   초대형 건물스크린~




구글광고






[서울역 광장]  서울스퀘어.   초대형 건물스크린~

성탄절 서울역광장에 가면 서울스퀘어 건물에서 초대형 스크린을 볼수 있습니다아 !!@@!!

와우.

광장시장 빈대떡 만들기. How to make bindaetteok

광장시장 빈대떡 만들기. How to make bindaetteok



구글광고






[Street Food] 광장시장 빈대떡 만들기. 

How to make bindaetteok.

korean green-gram pancake.


광장시장의 대표음식 빈대떡입니다.

함께 보실까요.

광장시장 먹거리 _ 찹쌀호떡

광장시장 먹거리 _ 찹쌀호떡



구글광고






부산에 씨앗호떡이 있다면 서울 광장시장에는 찹쌀호떡이 있다.

한입 베어물면 달콤한 시럽이 흘러내리는 맛있는 찹쌀 호떡이

한개 1500원.

간식으로 딱!

회현동 시민 아파트. 서울에 남은 마지막 시민아파트

서울시 회현동에 위치한 회현 시민아파트는 준공 40년을 넘은 초고령 아파트다.

Located in Hoehyeon-dong, Seoul, Hyeon-Hyun Citizen's apartment is a super-aged apartment for over 40 years.






회현제 2시민 아파트의 구조는 일반 아파트와는 다르다. 1동짜리 건물에 세대수가 많다 보니, 출입구가 1층과 6층에 두곳이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급격한경사 때문에  출입구에는 구름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The structure of 2 citizen apartment is different from general apartment. As one-tiered building has many households, it has two entranceways on the 1st and 6th floors.

구글광고





지하1층, 지상 10층 1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이한점은 10층의 고층에도 불구하고 엘레베이터가 없다는 점이다. !!
원래 서민용으로 건설된 아파트라 엘레베이터는 고사하고 주차공간도 별로 없다. 입구 골목에 어렵사리 주차를 해야만 한다.

One floor is basement, and the other is 10 stories above ground. Unusual is that there is no lift even though it is 10 stories high. !!

Originally built for the common people, there is not much parking space as opposed to the apartment elevator. You have to park your car in the entrance alley.





요즘 기준에서 보면 뭐 이런 아파트가 다 있냐 하겠지만, 준공 당시에는 상당히 준수한 아파트 였다고 한다.  1970년대 당시 서민들은 공중화장실을 이용했을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있었는데, 당시 방 2개와 화장실이 개별로 달린 아파트는 고급 아파트로 통했다.

지리적으로 남대문, 동대문시장과 가까운점, 남산 바로 옆이라 생활 환경도 괜찮았다는 점도 이점으로 작용했다.

Nowadays,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re are all kinds of apartments, but it was said that it was a very well-kept apartment at the time of completion. In the 1970s, ordinary people were exposed to the harsh environment that used public toilets. At that time, apartments with two separate rooms and toilets led to luxury apartments.



Geographically, it is close to Namdaemun and Dongdaemun market, and besides Namsan, the living environment was also good.




시민아파트 준공 초기에는  고위공무원, 경찰 연예인등 중산층들이 살았었다. 돈없는 원주민들은 이들에게 밀려 다른곳으로 밀려나거나 달동네를 찾아 떠냐야 했다. 후에 강남에 아파트 건설 붐이 일고 나서야 진짜 서민들이 이 아파트에 살수 있게 되었다.

At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Citizen's apartment, the middle class such as senior officials, police entertainers, etc. lived. The moneyless Aborigines had to be pushed to another place or to go to Daldong. Later, after the boom of apartment construction in Gangnam, real people could live in this apartment.

구글광고






회현 시민 아파트는 오래되었으면서도 독특한 구조 때문에 방송에도 출현했는데, 최근에는
인기 예능프로그램인 무한도전 촬영팀이 다녀가기도 했다.


현재 회현시민아파트는 안전등급 D등급을 받아 철거계획이 진행중이다. 하지만
현재 몇몇 거주민과의 마찰로 인하여 몇 가구가 남아 있는 상태이며 서울시는 이들과
철거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나 협상은 산으로 가고 있는 상황이다.

The apartments of Hoehyeon Citizen have appeared on broadcasting due to their unique structure while they are old.

Wuhan Challenge shooting team, a popular entertainment program, has also visited.





At present, the flotation plan is underway for the apartment in Hoehyeon Citizen with safety grade D rating. But

At present, some households remain due to friction with some residents.

We are discussing the demolition, but the negotiations are going to the mountains.



서울시에서 시민아파트 거주민들에게 보낸 공문
An official letter sent to residents of the Simin Apartment in Seoul



서울시 공문에 대한 시민아파트 거주민들의 답변.
Respondents in the Simin Apartment Residents' Opinion on Seoul.



튼튼하게 지어진 시민아파트도 시간이 흘러 결국 철거의 시기가 왔다.
위험등급D를 받은 시민아파트는 더이상 주거의 기능을 상실했다고 서울시는 판단했고 현재 철거협상이 진행중이다.  서울시가 철거한다는 소문을 듣고 투기세력이 찾아들어 1채당 1억이 안되던 아파트는 2~3억을 호가했었다. 그들은 현재 시민아파트에 살고 있지는 않다.

It was time for demolition of citizen apartment which was built firm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judged that the citizens' apartment, which received the danger grade D, is no longer functioning as a residence, and negotiations for demolition are underway. After the rumor that the city of Seoul had been demolished, speculators came to find that the apartment, which had less than 100 million won per square meter, scored between 2 and 300 million. They are not currently living in citizen apartments.



거주민 대부분이 전세를 살고있는 세입자다. 아직 대부분의 집주인들은 철거에 동의하고
있지않다.  서울시는 현재 그들에게 최후통첩을 날린 상태이다.  앞으로 어떤일이 벌어질지 알수는 없지만 모두 잘 풀리기를 기도할 뿐이다.



Most of the inhabitants are tenants who live in premises. Most landlords still agree to demolish

It is not. The city of Seoul is now in an ultimatum to them. I do not know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but I pray that all will be resolved.

구글광고




시민아파트 관리 사무소. 아직도 아파트 관리소는 잘 운영되고 있다.

Citizen Apartment Management Office. Still, apartment houses are well maintained.








구세군과 자선냄비. 12월의 따뜻한 기운.

구세군과 자선냄비. 12월의 따뜻한 기운.




날씨가 추워지면 심심치 않게 볼수 있는 장면이 있다.
시민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지하철, 번화가 등에 등장하는 바로 이...

구세군!  자선냄비




겨울이 되면 많은 분들이 바로 이 구세군 자선냄비를 보시게 되는데요,


자선냄비는 구세군에서 운영하는 자선기금입니다. 매해 겨울마다 기부금을 모아 어려운
불우이웃들에게 희망이 되어주고 있지요.

구세군의 역사는 무려 1908년 부터 시작입니다.
1908년부터 한국 구세군은 아동, 윤락 여성, 여성교육사업을 위해 학교를 설립하고 구호 활동을 시작했는데요. 무려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합니다.

특히 이 자선냄비 모금은 1920~30년 대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자선냄비로 모인 기금은
우리 주변의 어려운 불우이웃들에게 희망을 전해주고 있지요.


구글광고







구세군의 심볼. 빨간 방패 입니다. 다들 지나가면서 한번씩은 보셨을거예요.
이 빨간 방패에도 심오한 뜻이 담겨 있다는거 아시나요?


방패 모양의 이 로고는 사회봉사의 의미를 담고 있답니다. 그리고 방어와 보호의 상징이지요.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사탄을 물리치고 소외된 이웃을 보호하는 것이 바로 이 붉은 방패입니다. 구세군은 본디 교회 조직에서 생겨났기 때문에 종교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지요.







구글광고 


자선 냄비 왜 빨간색일까요?

자선냄비의 빨간색은 구세군의 붉은 방패와, 예수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





명동 번화가에 등장한 구세군 자선 냄비.

구세군 방패와 냄비와 더불어 구세군인들의 복장도 특이합니다. 꼭 제복같군요.
사실 이것도 숨겨진 비밀이 있답니다.

구세군은 창립 당시부터 교회 조직인 아닌 감독제 형태의 군대식 조직을 갖추었는데요,
이것은 창립당시 신속한 구제와 봉사를 하기 위해 군대식 조직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구세군인도 제복을 입고 있지요.  조직도도 군대처럼 대장, 병사, 사관, 부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군대처럼 상명하복식의 명령제 형태는 아니라고 하는군요.








                    (구세군 홍보를 하고 있는 박원순 시장과 크레용팝)

구글광고







이렇게 좋은 뜻으로 자선모금 활동을 펼치고 있는 구세군 자선 냄비.

하지만 요새 구세군 자선냄비를 사칭하여 모금을 빙자하여 돈을 가로채는 못된 무리들이 있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진짜 구세군 구분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일단 방패 모양 구세군 마크!  확인하세요.





2. 자선냄비의 모양.



 손잡이 모양이 위를 향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자선냄비는 원통형 모양이고, 위쪽이 조금 작고 냄비 밑부분이 좀더 사이즈가 큽니다.





3. 구세군인들이 제복 복장인지 확인하세요. !



구세군인은 기본적으로 제복을 입고 종을 치며 모금을 한답니다.


구글광고



지금까지 구세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추운 겨울날 우리 주변의 불우한 이웃에게 도움을 주는 소중한 구세군. 다 같이 동참해서 조금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수 있으면 좋겠네요.





























[Street Food] 호떡 만들기. How to make hotteok. Korean pancke.

[Street Food] 호떡 만들기. How to make hotteok. Korean pancke.




구글광고





[Street Food] 호떡 만들기. How to make hotteok. Korean pancke. 한국의 겨울 대표 길거리 음식 호떡. 호떡영상을 봅시다. 어떻게 호떡을 만들까요?

호떡은 한국과 중국등에서 볼수 있는 길거리 음식입니다. 찹쌀이나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드는데, 보통 안쪽에 설탕이 들어가 있지요. 열량은 작은건 약 200칼로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한국에서는, 보통 철판에 식용유에 튀겨서 파는 호떡이 일반적입니다. 부산에서 탄생한 씨앗 호떡 같은 유니크한 음식도 있지요. 녹차가루를 넣은 호떡은 반죽이 녹색이라 튀겨도 녹색입니다.

구글광고


Hokok is a street food in Korea and China. It is made by kneading glutinous rice or flour, usually with sugar inside. The calorie is about 200 calories. In Korea, it is common for hot rice crackers to be sold on edible oil. There is also a unique food such as Seaweed Rice which was born in Busan. The green tea powder is green when the batter is green because the dough is green.
How to make hotteok. Korean pancake.

지하철 출발 및 도착 영상. 장소는 군포시에 위치한 1호선,4호선 금정역입니다.

지하철 출발 및 도착 영상. 장소는 군포시에 위치한 1호선,4호선 금정역입니다.



구글광고







지하철이 역사 플랫폼에 도착하는 영상과 플랫폼에서 출발하는 영상입니다.
금정역은 1호선, 4호선이 교차하는 구간으로서, 환승 승객도 많은 군포시의 대표 지하철역입니다.  1,4호선이 군포시민들의 서울 출퇴근을 책임지고 있지요.
금정역은 탑승 플랫폼이 노출형이라 이렇게 지하철이 들어오고 나오는 모습을 찍을수 있답니다.  같이 감상해보실까요.




It is the video that the subway arrives at the historical platform and the image which departs from the platform.
Geumjung Station is the intersection of Route 1 and Route 4, and is the representative subway station of Gunpo City, which has many transfer passengers. Lines 1 and 4 are responsible for the commuting of Seoul's citizens to Seoul.
Geumjung Station is an exposed type of boarding platform so you can take pictures of the subway coming in and out. Would you appreciate it?






지하철 6호선 안암역. 고려대학교 병원이 위치한 6호선 안암역 Subway Line 6 Anam Station. Anam Station, Line 6, Korea University Hospital.

지하철 6호선 안암역. 고려대학교 병원이 위치한 6호선 안암역.
Subway Line 6 Anam Station. Anam Station, Line 6, Korea University Hospital.


'고대병원앞역'으로도 불린다. 서울지하철 6호선 보문역과 고려대역 사이에 있다. 2000년 12월 15일 개업했다. 역명은 동명과 인근에 고려대학교와 고려대의료원 안암병원이 있어 붙여졌다. 역 주변에 성신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인촌로 지하 89(안암동5가 101-84)에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안암역 [Anam Station, 安岩驛] (두산백과)


구글 광고




It is also called 'Ancient Hospital Front Station'. It is located between Bomun Station of Seoul Subway Line 6 and Koryo Zone. It was opened on December 15, 2000. The station name was attached to Dong - myeong and nearby Korea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am Hospital. There 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around the station.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is located in Incheon Road 89, Seongbuk-gu, Seoul (Anam-dong 5-ga 101-84).







지하철 내부에 설치된 공중전화




탑승 플랫폼



지하철역 이름 표지판


구글광고



안암역 근처에 있는 고려대학교 병원



지하철 입구.







안암역 표시판



안암역 엘리베이터



안암역 내부 사진




구글광고




구글광고



물품 보관함



무인사진기




내부 상점 모습



편의점 모습.





표를 구매하는 모습.



역사 내부 상점





개찰구. ticket way



지하철 탑승카드 보증금 환급기



화장품가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