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쌈지길, 인사동에 나타난 파룬따파 공연단. 그리고 인사동에서 공연하는 남원농악단.

인사동 쌈지길,  인사동에 나타난 파룬따파 공연단.  그리고 인사동에서 공연하는 남원농악단.





먼저 인사동이란...

정의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한 법정동의 명칭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골동품, 화랑, 표구, 필방, 전통공예품, 전통찻집, 전통음식점 등이 집중되어 있는 인사동 및 그 인근지역을 지칭함.

명칭 유래

인사동이라는 명칭은 일제 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처음 사용되었다. 현재의 인사동 지역에는 조선 초기에 한성부 중부 관인방()과 견평방()이 있었고(방()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수도의 행정구역 명칭의 하나로 성안의 일정한 구획을 말함), 1894년 갑오개혁 당시에 이루어진 행정개혁 때는 대사동(), 원동(), 승동(), 이문동(), 향정동(), 수전동() 등이 있었다. 관인방과 대사동에서 가운데 글자 인()과 사()를 각각 따서 인사동이라는 동명이 붙여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사동(댓절골)이라는 명칭은 이 지역에 고려시대에는 흥복사라는 큰 절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원각사라는 큰 절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자연환경

인사동은 북쪽의 북악산과 남쪽의 청계천 사이의 평지에 위치하고 있다. 옛날에는 삼청동에서 시작해서 관훈동·인사동을 거쳐 청계천과 만나는 광통교까지 흐르는 개천이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현재의 인사동 길은 이 개천을 따라 형성되었다. 인사동 길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63번지에서 관훈동 136번지로 이어지며 700m의 비교적 좁은 길이다.

형성 및 변천

조선왕조를 건립한 태조 때부터 국가나 왕실에 공을 세운 사람을 공신으로 책록(祿)하기 위해서 그 업적을 조사하던 관청인 충훈부()가 관훈동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도적을 경비하고 법에 금한 사치스런 잔치나 풍기문란 등을 단속하던 이문()이란 관청과 도화서()가 인사동에 있었다. 인사동은 관가이면서 동시에 거주지였다. 중인()들이 많이 산 것으로 전해지지만, 이율곡(), 이완() 장군, 조광조() 등도 이곳에서 살았다.
일제강점기부터 골동품 상점들이 들어서기 시작했고, 이들 상점들은 문화재 수탈의 창구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 인사동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으로는 1919년 3월 1일의 독립운동을 들 수 있다. 당시 33인이 모였던 태화관 자리에는 태화빌딩이 자리 잡고 있다.
해방 후 1970년대에 들어와 화랑, 표구점 등의 미술품 관련 상점들이 이곳으로 집중되면서 인사동은 현재와 비슷한 문화의 거리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서울시에서는 1988년에 인사동을 ‘전통문화의 거리’로 지정하였고 2002년 4월 24일에는 제1호 문화지구로 지정했다.

현황

인사동은 현재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의 거리이다. 여기에는 골동품 상점, 화랑, 표구방, 필방, 전통공예품 상점 등이 집중되어 있고, 전통찻집·전통주점·전통음식점이 번성하고 있다. 인사동은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 중의 하나이다. 인사동을 찾는 관광객이 많아 상주인구보다 유동인구가 훨씬 더 많다. 법정동 인사동에는 종로1·2·3·4 행정동이 있는데 이들 4개 행정동의 2009년 인구는 4,437가구에 8,645명인데 비하여 이곳을 찾는 관광객은 하루에 1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외 관광객의 보행 편의와 원활한 문화행사 개최를 위해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인사동 거리를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하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인사동 [Insadong, 仁寺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Falun Dafa performance in Insa-dong Ssam-ji-gil, Insadong. Namwon Piano Orchestra performing in Insadong.

First Insadong ...

Justice
It is the name of a court order located in Jongno-gu, Seoul, but it refers to Insadong and neighboring areas where antiques, art galleries, calligraphy, calligraphy, traditional handicrafts, traditional tea houses and traditional restaurants are concentrated.
Origin name
The name Insadong was first used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in 1914, the period during which Japan was under Japanese occupation. In the present Insadong area, there was the Han Seongbu Central Buildi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Ishbangb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ong) was a part of the administrative division of the capital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nd the administrative reforms that took place in 1894 during the Reformation period were the Daesa-dong, Wodong, Seongdong, Leemoon-dong, Geomjeong-dong, . It is known that Insa-dong was named after the inscription and the temple in the center room and the Daesa-dong respectively. The name Daesa - dong (that ostentation) was named in this area because there was a large temple called Gyobuksa in the Goryeo period and a large temple called.
natural environment
Insadong is located on the plain between Bukak Mountain in the north and Cheonggye Stream in the south. In the past, there was a stream running from Samcheong-dong to Kanghwa-dong and Insadong to Cheonggyecheon and Guangtong Bridge, but now it is gone. The current Insadong road was formed along this stream. Insadong Gil is a relatively narrow road of 700m from the 63rd Insadong, Jongno-gu, Seoul, to 136th Kwanhun-dong.
Formation and Transition
Chunghoonbu (忠 勳 府), which was in charge of investigating the accomplishments of the people who established the kingdom in the kingdom and royal family from the Taejo era, established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re was a government office and a painting department in Insa - dong, which ruled the thugs and cracked up on the lavish banquets, Insadong was a cemetery and a residence. It is said that a lot of people (middle-aged people) are living in the area, but Lee Yulgok, Lee Wan-jung and Zhao Kwang-soo also lived her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tique shops have begun to enter, and these shops have served as a window to the destr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The historical events that occurred at this time in Insa - dong include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 1919. Taehwa Building is located in Taehwa Pavilion where 33 people gathered at that time.
In the 1970s after the liberation, arts-related shops such as galleries and ping-dong stores were concentrated in this area, and Insa-dong started to develop into a cultural street similar to the present. In 1988, Seoul designated Insadong as the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and on April 24, 2002, it was designated as the 1st Cultural District.
Status
Insadong is a street of representative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There are antique shops, galleries, calligraphy rooms, calligraphy and traditional craft shops, and traditional tea houses, traditional pubs and traditional restaurants are thriving. Insadong is one of the most visited places for foreigners. There are many tourists visiting Insadong, so there is much more floating population than resident population. There are Jongno 1, 2, 3, 4 administrative bureaus in Insa-dong of Hwajeong-dong. These 4 administrative bureaus have 4,437 households with 8,645 people in 2009, compared with about 100,000 tourists a day. In order to facilitate the walking and the cultural events of inside and outside tourists, we run the "No Car Street" on Insadong Street on Saturdays and Sundays on weekends. [Insadong, Insa-dong]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댓글 없음:

댓글 쓰기